이신우 문화일보 논설고문 4 월 19 일
더불어민주당 안팎에서 보궐 선거의 패배 원인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다. 편향되고 왜곡된 언론 때문이라는 주장도 빠지지 않는다.
이낙연 전 대표는 “이번 선거에서 언론들의 보도 태도가 한번은 검증 대
상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열린민주당의 최강욱 의원은 더 호기롭다. “언
론개혁은 분리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다음 세대의 행복한 삶을 위해
서라도 반드시 끝장을 보겠다.”
이 대표는 얼마 전에도 “악의적 보도와 가짜 뉴스는 사회혼란과 불신을 확
산시키는 반사회적 범죄”라면서 “언론개혁을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했다. 이쯤 되면 언론 보도와 가짜 뉴스는 현 정권의 적폐 1호쯤 된다.
가짜 뉴스는 우리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많은 나라의 정당이나 정부
가 가짜 뉴스 매입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이 들릴 정도다. 영국 옥스퍼드
대의 ‘옥스퍼드 인터넷 인스티튜트(OII)’에 따르면 수많은 광고·마케팅·
홍보회사들이 온라인 여론 조작을 위한 가짜뉴스를 양산하고 이를 각국
정치권에 내다 팔고 있다.
일례로 페이스북은 엘살바도르·아르헨티나·우루과이·베네수엘라·에콰
도르·칠레 등의 선거 캠페인에 동원됐던 캐나다 가짜 뉴스 용역회사의
페이스북 사용을 차단했다고 밝혔다.(파이낸셜 타임스 1월 14일 자)
하지만 가짜 뉴스 원조를 꼽으라면 필자는 단연코 대한민국을 꼽겠다.
민주당의 선거 승리를 뒷받침한 드루킹은 말할 것도 없고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전후해 쏟아진 가짜 뉴스는 헤아릴 수조차 없다.
‘최순실 일가 재산 10조 원’을 주장한 정치인은 과연 어느 당 소속이었
을까. 주진우의 ‘박 대통령 섹스 관련 테이프’ 이야기는 한때 민주당 지
지 남성들을 설레게(?) 했다. 김어준의 ‘세월호 고의 침몰설’도 빼놓기
어렵다.
경북 성주에 사드 기지가 배치되자 민주당 국회의원들은 성주로 몰려가
‘전자파 튀김 참외’를 규탄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총 1368명이 사망했다”며 구체적 숫자까지 밝혔다. 물론 당시에
원전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한 명도 없었다.
가짜 뉴스에 관한 민주당 쪽의 과민 반응을 이해할 만하다. 자기네가 집권
세력을 공격할 때 벌인 ‘가짜 뉴스 파티’가 얼마나 파괴적인 효과를 발휘
했는지 누구보다 잘 알기 때문일 것이다.